2025.04.04 (금)

  • 구름조금속초11.7℃
  • 구름조금16.6℃
  • 구름조금철원15.5℃
  • 맑음동두천14.8℃
  • 맑음파주14.0℃
  • 구름많음대관령12.1℃
  • 구름조금춘천16.4℃
  • 박무백령도8.7℃
  • 구름많음북강릉13.0℃
  • 구름많음강릉14.9℃
  • 구름많음동해12.5℃
  • 맑음서울16.1℃
  • 맑음인천13.2℃
  • 구름조금원주16.8℃
  • 구름많음울릉도11.4℃
  • 맑음수원15.8℃
  • 구름많음영월15.2℃
  • 구름조금충주14.7℃
  • 맑음서산14.6℃
  • 구름많음울진11.8℃
  • 구름조금청주15.6℃
  • 구름조금대전17.8℃
  • 구름많음추풍령14.7℃
  • 구름많음안동16.0℃
  • 구름많음상주16.5℃
  • 구름많음포항14.7℃
  • 맑음군산14.4℃
  • 구름조금대구18.0℃
  • 맑음전주16.6℃
  • 구름많음울산14.8℃
  • 구름많음창원16.8℃
  • 맑음광주17.6℃
  • 맑음부산14.4℃
  • 맑음통영14.8℃
  • 맑음목포13.8℃
  • 맑음여수14.9℃
  • 맑음흑산도14.6℃
  • 맑음완도15.6℃
  • 맑음고창16.1℃
  • 구름조금순천14.6℃
  • 맑음홍성(예)16.0℃
  • 구름조금17.3℃
  • 흐림제주12.6℃
  • 맑음고산13.3℃
  • 구름조금성산14.1℃
  • 구름많음서귀포15.4℃
  • 맑음진주16.6℃
  • 맑음강화11.7℃
  • 맑음양평15.3℃
  • 구름조금이천17.4℃
  • 구름많음인제14.7℃
  • 구름조금홍천16.0℃
  • 구름많음태백12.9℃
  • 구름많음정선군16.8℃
  • 구름조금제천13.7℃
  • 구름조금보은15.3℃
  • 구름조금천안15.9℃
  • 맑음보령14.1℃
  • 맑음부여16.5℃
  • 구름조금금산16.5℃
  • 맑음17.1℃
  • 맑음부안14.9℃
  • 맑음임실16.6℃
  • 맑음정읍17.1℃
  • 맑음남원17.5℃
  • 구름많음장수15.5℃
  • 맑음고창군17.2℃
  • 맑음영광군15.1℃
  • 맑음김해시15.6℃
  • 구름조금순창군16.2℃
  • 구름조금북창원17.6℃
  • 구름조금양산시18.1℃
  • 맑음보성군16.3℃
  • 구름조금강진군15.6℃
  • 구름조금장흥15.3℃
  • 구름조금해남15.0℃
  • 구름조금고흥15.7℃
  • 구름조금의령군18.4℃
  • 구름많음함양군16.8℃
  • 맑음광양시16.8℃
  • 맑음진도군13.3℃
  • 구름많음봉화13.5℃
  • 구름많음영주14.2℃
  • 구름조금문경15.8℃
  • 구름많음청송군15.6℃
  • 구름많음영덕12.2℃
  • 구름많음의성16.9℃
  • 구름조금구미17.2℃
  • 구름많음영천15.7℃
  • 구름많음경주시15.9℃
  • 구름많음거창16.2℃
  • 구름많음합천17.7℃
  • 구름많음밀양17.2℃
  • 구름많음산청16.3℃
  • 구름조금거제15.6℃
  • 맑음남해16.6℃
  • 맑음16.5℃
금리·공시가·보유세 다 오른다… "국민에 세금폭탄?"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리·공시가·보유세 다 오른다… "국민에 세금폭탄?"

 재산세 등 세금 부과 기준인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올해 19.08% 오른다. 노무현 정부 때인 2007년(22.7%)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 사태로 정부와 공공기관에 대한 불신이 심각한 와중에 역대급 공시가격 인상안이 발표되자 민심은 더 험악해 졌다. “정책 실패로 집값을 올려놓고, 공시가격을 터무니없이 올려 세금만 뜯어간다”는 비판이 쏟아진다.

 

 국토교통부는 16일 0시부터 2021년 1월1일 기준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을 공개하고, 4월 5일까지 소유자와 지자체 등의 의견을 듣는다고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공동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은 19% 이상으로 지난해(5.98%) 보다 세배 이상 크다. 지난해 집값이 많이 올랐고,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에 따라 현실화율(시세 대비 공시가 반영률)을 높였기 때문이란 게 정부 설명이다. 이에따라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70.2%(지난해는 69%)까지 올라간다.

 

 올해 전국에서 공시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세종시(70.68%)다. 이로써 올해 세종시 공시가 중위가격(공동주택 전체 공시가격의 중간값)은 4억2300만원으로 서울(3억8000만원) 보다도 높아졌다.


 공시가격 상승세는 집값이 많이 오른 서울(19.91%), 경기(23.96%) 등 수도권과 대전(20.57%), 부산(19.67%) 등이 이끌었다. 서울에선 노원구(34.66%), 도봉구(26.19%) 등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이 강남구(13.96%)나 서초구(13.53%) 등 강남권 보다 많이 뛰었다.

 

 공시가격이 많이 오르자 “세금 폭탄 맞게 생겼다”, “25번이나 대책을 내놓고 집값을 잡지 못한 책임을 국민에게 돌리는 꼴”이라며 반발하는 목소리가 각종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 게시판을 도배하다 시피하고 있다. 공시가격은 보유세(재산세, 종합부동산세)와 지역건강보험료 등 각종 세금의 기준이 된다.

 

 정부는 공시가격 6억원 이하 1주택 보유자는 지난해 말 개정된 ‘지방세법’에 따른 재산세 특례세율이 적용돼 세금 부담이 오히려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세율 인하효과(주택분 재산세 22.2~50%)가 공시가격 상승으로 인한 재산세 증가효과(상한 5~10%)보다 크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공시가격 4억9700만원인 서울 관악구 A아파트는 올해 공시가격이 5억9200만원으로 19.1% 오르지만, 재산세 부과액은 105만1000원에서 94만2000원으로 10.4% 떨어진다.

 

 문제는 공시가격 9억원을 초과하는 1주택자나 보유주택 합산 공시가격이 6억원을 초과하는 다주택자다. 이들은 재산세는 물론 종합부동산세까지 큰 폭으로 늘어 세금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공시가격 9억원이면 시세가 12억원 정도에 해당한다. 서울 강남지역이나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지역 아파트 대부분이 해당한다.

 

 정부가 내놓은 서울 강남 B 아파트에 대한 시뮬레이션 자료를 보면 고가주택에 대한 세금 부담이 얼마나 커질지 가늠할 수 있다. 이 아파트는 지난해 공시가가 17억6000만원인에서 올해 20억원으로 올랐다. 이에따라 지난해 1000만6000원(재산세 580만2000원, 종부세 420만4000원)을 내던 보유세를 올해는1446만7000원(재산세 668만4000원, 종부세 778만3000원) 내야 한다. 44.6% 급등하는 것이다.

 

 종부세 부과 기준인 공시가격 9억원을 초과하는 공동주택은 전국 기준 3.7%인 52만4620채, 서울은 서울 전체 공동주택의 16.0%인 41만2970채 규모다. 작년 전국 30만9361채, 서울 28만842채에서 69.6%, 47.0% 각각 늘었다.

 

 이재국 금융연수원 겸임교수는 “정부 공식통계인 한국부동산원 기준으로는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3%, 전국 기준으로는 7% 수준이었다”며 “공시가격 인상폭에 집값 상승분을 반영한다면서 20% 가까이 올리는 건 도대체 무슨 기준인지 납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